본문 바로가기
동물 식물

오리너구리 독, 알 : 제일 특이한 포유류

by 쇼미더정보 2023. 4. 4.

포켓몬스터 고라파덕의 모델이라고 알려진 오리너구리. 이 희귀한 생명체는 포유류일까 아닐까? 한 번 알아보자.

 

오리너구리

오리너구리는 호주에서 발견되었다. 1800년대 초반 유럽의 탐험가와 과학자들에게 발견되었던 것! 당시 오리너구리의 존재는 학계에 엄청난 혼란을 야기했다고 한다.

연구 때문에 오리너구리의 박제를 영국으로 보냈을 때 수달이나 비버 몸에 오리 주둥이와 팔, 다리를 이어붙여 놀리는 거라 생각해 박제를 부실 정도였다고.

 

생물을 분류하는 데 있어 포유류, 조류, 파충류 등 다양한 카테고리가 있는데..이 중 오리너구리는 포유류일까 아닐까? 결론만 말한다면 오리너구리는 포유류가 맞다. 하지만 오리너구리만의 이색적인 특징이 있다.

 

오리너구리 특징

(1) 반수생 동물

수달이나 해달처럼 반수생 동물이라 물에서만 살 수는 없다. 그래서 대부분 뭍에서 시간을 보낸다고. 

 

(2) 알을 낳는다

포유류는 새끼를 낳는데 오리너구리는 포유류임에도 불구하고 알을 낳는다. 포유류는 젖꼭지에서 나오는 모유로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데 오리너구리는 젖꼭지가 없고 털에서 젖이 나온다. 그리고 조류들만이 갖는 부리가 달려있다.

(3) 위가 없다

오리너구리는 위가 없어서 음식을 섭취하면 음식물이 바로 창자로 이동된다.

 

(4) 이빨이 없다

오히려 새끼 때만 이빨이 있고 이게 빠지면 이빨이 없는 상태로 산다.

 

(5) 독이 있다

뒷발톱에서 독을 내뿜는다. 수컷의 뒷발에 큰 가시가 있는데 이 가시에 신경의 기능을 마비시키는 신경독이 있다. 소동물을 포함에 큰동물까지 죽일 수 있는 맹독이라 한다. 사람도 오리너구리의 독에 노출되면 몸이 마비되어 독이 자연스레 배출될 때까지 병원에서 최소 몇 일 최대 몇 달 이상 누워있어야 한다고.

(6) 미세자기장을 감지한다

오리너구리는 부리로 미세자기장을 감지하는 능력이 있어 잠수 할 때 눈을 감고서 사냥할 수 있다. 상어가 이와 비슷한 능력을 갖고있다고. 즉 오리너구리는 부리를 소유함으로써 조류의 특징과 어류의 능력을 동시에 갖고있는 셈이다.

 

(7) 부리를 이용해 사냥한다

부리로 하천 바닥을 긁고 퍼내서 송어, 조개, 벌레 등의 생물을 잡아먹는다. 먹이는 잡으면 볼주머니에 넣거나 꼬리를 이용해 육지에 옮긴다. 잠수해서 사냥도 하는데 털이 부드럽고 보온과 방수 기능을 갖고 있다.

 

(8) 꼬리로 지방 저장

낙타 혹이 지방을 저장하듯 오리너구리는 꼬리로 지방을 저장한다. 그리고 수영할 때 꼬리가 방향을 조정하는 역할도 한다.

 

 

 

이외에 오리너구리는 호주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동물로 국가에서 행사가 있을 때 코알라, 캥거루와 함께 중요 마스코트로 자주 등장한다. 그래서 호주의 20센트 동전엔 오리너구리가 새겨져 있으며 오리너구리가 그려진 우표도 있다. 

 

댓글